원희룡‧좌남수, “도정과 의정이 본격적인 ‘협치’의 길로 나섰다.”
![원희룡 제주도지사(오른쪽)와 좌남수 도의장이 공동합의문 발표 직후 어깨동무를 하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제주도의회 제공]](/news/photo/202009/17987_26096_4654.jpg)
제주도와 도의회가 새해 예산안을 도민 중심‧적극 행정에 중점을 두고 편성하고, 정부의 ‘한국판 뉴딜’ 정책 참여를 위해 ‘제주형 뉴딜 실무 T/F팀’을 구성키로 합의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도의회는 10일 오후 3시 제주도의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민선 7기 첫 정책협의회를 열고, 이같이 합의했다. 이날 원희룡 도지사와 좌남수 도의장은 ‘코로나 19’ 위기 극복을 위해 혼연일체 수준의 정책 추진을 합의하면서, 의회와 도정 간 ‘정책 협치’가 본격 가동된다고 평가했다.
이들은 민과 함께‘코로나 19’위기 극복과 제주의 미래를 위한 제주특별자치도의회-제주특별자치도가 도민들께 드리는 공동 합의문’을 통해 “‘코로나 19’의 엄중한 상황에서 도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다는 원칙으로 제주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의회와 도가 공동 대응하고,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양 기관은 ‘코로나 19’ 장기화에 대비해 감염병 확산 대응 위기 단계별 지침을 세부적으로 수립하고, 중소기업 경영안정 자금 수요자 부담금리 인하 추진 등 도민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포스트 코로나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2021년도 예산편성 기본방향과 관련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한정된 재원을 최대한 투자하는 적극재정을 통해 1차 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관광·문화 및 서비스 등 제주산업 보호에 힘쓰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가 프로젝트인 정부의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참여 및 강력한 추진력 확보를 위해 『제주형 뉴딜 T/F』를 공동 구성해 대응하고, 2023년 제28차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제주 유치와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개정법률안 국회 통과를 위한 공동노력 등도 합의했다.
원희룡 지사는 “코로나·경제 위기로 도민의 삶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도정과 도의회가 협력하고 공동 대응하는 것은 도민이 바라는 것이고,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필수 과제”라고 전제한 후 “제주도와 도의회가 본격적인 ‘협치’의 길로 나선만큼 그동안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오늘 이 자리를 계기로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는 전환점이 되고, 4·3의 완전한 해결로 가는 신호탄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좌남수 의장도 “도의회가 도정을 견제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담당하지만 ‘코로나 19’ 위기에 더 이상 지켜보기만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도정과 도의회가 혼연일체의 ‘협치’로 지역 가계경제의 붕괴를 막아내고, 소상공인․자영업자, 1차 산업 및 관광․문화․서비스 산업 보호와 ‘제주형 뉴딜’을 통해 제주 경제를 살려내겠다”고 강조했다.